본문 바로가기

뼈가되는 이야기

ADC 치료제가 뭐길래?

ADC란 무엇인가?


ADC는 항체(Antibody), 세포독성 약물(Drug), 링커(Linker)라는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 항암 치료제다.

ADC는 항체가 특정 암세포 표면의 항원과 결합하면, 내부로 침투해 강력한 항암 물질을 방출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원리로 작용한다.

ADC는 3가지 요소로 구성돼있다.

출처: 롯데바이오로직스 ADC소개 페이지


항체: 특정 암세포의 표면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하여 치료 효과를 높임
세포독성 약물: 강력한 항암 효과를 가진 화학 물질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파괴함
링커: 항체와 세포독성 약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특정 조건에서만 약물을 방출하도록 설계됨
ADC의 장점

ADC는 기존의 항암 치료제보다 높은 효능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표적 특이성: 정상 세포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함
높은 치료 효능: 기존 화학요법보다 더 강력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부작용 감소: 정상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

 



ADC의 현재 개발 현황

2025년 3월 기준, FDA(미국 식품의약국) 승인을 받은 ADC 치료제는 14개

주요 ADC 치료제는 유방암, 방광암, 자궁경부암과 같은 고형암뿐만 아니라 급성 백혈병, 림프종과 같은 혈액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ADC 치료제의 개발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으며,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기존 화학요법과 병용 치료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연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ADC는 뛰어난 치료 효과에도 불구하고 높은 치료 비용이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암세포의 항원 변이로 인해 치료 저항성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링커 기술과 결합 비율 최적화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ADC 치료제는 더욱 정교한 표적화 기술과 결합하여 암 치료의 핵심 전략 중 하나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럼 현재까지 개발되서 승인된 약물은 무엇이 있을까?

 

약물명 (영문) 한국어명 치료 적응증 승인일
Mylotarg (gemtuzumab ozogamicin) 마일로타그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2000년 (2017년 재승인)
Adcetris (brentuximab vedotin) 애드세트리스 림프종 (HL, sALCL) 2011년
Kadcyla (trastuzumab emtansine) 캇싸일라 HER2 양성 유방암 2013년
Besponsa (inotuzumab ozogamicin) 베스폰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2017년
Polivy (polatuzumab vedotin-piiq) 폴리비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DLBCL) 2019년
Padcev (enfortumab vedotin-ejfv) 패드세브 방광암 (요로상피암) 2019년
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 엔허투 HER2 양성 유방암, 전이성 위암 2019년
Trodelvy (sacituzumab govitecan-hziy) 트로델비 삼중 음성 유방암 (TNBC) 2020년
Blenrep (belantamab mafodotin-blmf) 블렌렙 다발성 골수종 2020년
Zynlonta (loncastuximab tesirine-lpyl) 진론타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DLBCL) 2021년
Tivdak (tisotumab vedotin-tftv) 티브닥 전이성 자궁경부암 2021년
Elahere (mirvetuximab soravtansine-gynx) 엘라헤어 난소암 2022년
Datroway (dato-DXd) 다트로웨이 HR+/HER2- 전이성 유방암 25년 1월 17일

<출처:chatgpt>

 

 

 

 

국내 유망한 기업은?


롯데바이오로직스 - ADC 원스톱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진행

동아에스티 – ADC 치료제 연구개발 진행

셀트리온 – ADC 치료제 개발 연구 중

한미약품 – ADC 기반 항암제 연구 중

삼진제약 – ADC 기술 연구 참여

종근당 – 항암제 개발 및 ADC 연구 진행

안국약품 – 항체 기반 치료제 연구

에이피트바이오 – ADC 플랫폼 기술 보유

노벨티노빌리티 – ADC 링커 기술 개발

피노바이오 – ADC 링커 및 세포독성 약물 기술 보유

인투셀 – ADC 링커 기술 개발 및 글로벌 협력 진행

시나픽스 – ADC 신약 연구 중

앱티스 – ADC 치료제 연구 및 생산

삼성바이오로직스 – ADC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진행

 

이 기업들은 ADC 치료제의 연구, 개발, 생산, 또는 관련 기술(링커, 세포독성 약물, 플랫폼)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