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뼈가되는 이야기

빠른 혁신기업 H&M, 환경보호로 지속가능성을 얻다

 

 

 

 

 

패스트 패션은 가격이 워낙 저렴하다 보니 소비자들 중엔 개도국 노동인력을 착취하거나 환경에 유해한 원료를 사용하는 건 아닌지 의심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대표적 패스트 패션 기업인 H&M은 적정 임금을 지불하는 회사만을 파트너로 삼고 제품 소재에 유기농 면이 사용된 정도를 주요 지표로 관리하는 등 근로자 복지와 환경보호를 적극적으로 챙긴다. 특히 H&M은 헌 옷을 수거해 체계적으로 재활용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패션 행사를 펼치는 등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적이다. 이런 노력 덕택에 H&M은 패스트 패션 업체임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

 

 

 

2014 1229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2014년 최고 시장 파괴자로 우버와 알리바바를 선정했다. 새로운 발상과 신기술을 이용해 기존 시장 판도를 뒤흔든 기업, 소비자와 사업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 업체에 ‘시장파괴자라는 멋진 이름을 선사한 것이다. 이외에도 <파이낸셜타임스>는 샤오미, 테슬라 등 업종별로 20여 개 업체를 선정하면서 이들을 소개하는 지면을 연말특집으로 마련했다.아마도 하버드대의 크리스텐슨 교수는 이 뉴스를 보고 싱긋 웃었을 것이다. 시장 파괴자라는 개념은 그가 1997년에 쓴 <혁신 기업의 딜레마>에 처음 등장한다. 그는 기존 플레이어들이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발상으로 시장에 뛰어들어 심지어 경쟁규칙마저도 새롭게 정의하는 기업을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수행하는 회사로 정의했다.

 

 

 

의류업계의 시장 파괴자, SPA 브랜드

 

 

 

의류업계는 어떠한가. 1980년대 중반 의류업체인 갭(GAP)이 최초로 콘셉트를 제안한, 그래서 새롭다고 말하기에는 머쓱할 수도 있는 SPA(Specialty store of Private label Apparel)가 파괴적 혁신의 주역이다. SPA는 자사의 기획 브랜드 상품을 직접 제조해 유통까지 하는 전문 소매점을 의미한다. 요즘에는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는 용어가 좀 더 일반화돼 있다. 기존 의류업체는 일년에 6번 신상품을 출시한다. 패스트 패션은 24, 거의 2주에 한 번꼴로 신상품을 출시한다. 매장에 가면 항상 신상품이 있다. 가격도 저렴해서 손님들이 바글바글하다. 자라, H&M, 유니클로가 글로벌 3 SPA 업체라고 불린다.

 

 

 

사회공헌 이야기를 해보자. 패스트 패션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가격이 저렴하다는 긍정적 평가와 ‘한 철만 입고 버리는 소비풍조를 조장한다는 부정적 인식이 함께 존재한다. 부정적 인식은 가능한 빨리 제거해야 한다. 한 번 입고 난 의류를 재활용하자는 아이디어는 그래서 중요하다. H&M은 헌 옷 수거 프로그램을 전 세계에서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소비자가 쇼핑백에 버리는 옷을 담아가면 나중에 H&M에서 4만 원 이상을 구매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는 5000원 할인 바우처(voucher)를 준다. 헌 옷이 반드시 H&M일 필요도 없다.

 

 

 

 

 

 

 

 

사실 헌옷을 수거해 할인 바우처를 제공해주는 건 대부분 패스트 패션 업체들이 비슷비슷하게 실시하고 있는 캠페인 활동이다. H&M의 특징은 수거된 옷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있다. 상태에 따라 재착용, 재사용, 재활용, 에너지원의 용도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 집안에 여러 아이가 있을 때에는 대물림이라도 하지만 한 가구 한 자녀인 집에서는 그것도 쉽지않다. 아이의 사촌동생에게 물려 입히기에도 괜히 눈치가 보인다. 그래서 누군가 다시 입을 수 있는 상태의 제품을 수거해서 전 세계 중고시장에 유통한다. 재착용이다. 내의를 입다가 구멍이 나면 이를 걸레로 쓴 기억이 있을 것이다. 착용이 불가능한 옷감은 청소도구 등 다른 제품으로 개조된다. 재사용이다. 이마저도 힘들 정도로 낡은 옷이라면 원사로 재활용된다. 심지어 자동차의 절연 소재로 활용된다. 이것도 곤란한 경우에는 에너지원으로 활용된다. 결코 그냥 버리는 법이 없다. 2013 H&M이 거둔 헌 옷은 3000t이 조금 넘는다. 이정도면 티셔츠 1500만 장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H&M CSR에 적극적인 이유

 

 

 

H&M의 제품은 1900개의 생산 공장에서 근무하는 160만 명의 손을 거쳐 나온다. H&M의 직원이 아니라고 해서 그들의 복지를 외면하지도 않는다. 적정 임금을 지불하는 회사만을 파트너로 삼는다. H&M은 제품 소재에 유기농 면이 사용된 정도를 주요 지표로 관리하고 있다. 유기농 면을 쓰면 생산자들은 화학비료 값을 절약할 수 있고, 농장 근로자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환경보호는 물론이다. 2020년까지 유기농 면 소재 100%사용을 목표로 하고있다. 면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다보니 면화재배 농장과 친밀해졌다. 이들에게 어떻게 하면 농약과 물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지도 교육시킨다.

 

H&M의 사회에 대한 약속은 깨어 있는 활동이라 불린다. 환경보호에 적극적인 의식 있는 고객에게 패션을 제공한다는 메시지를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덕택에 우리나라에서 유한킴벌리라는 회사 이름을 들으면 사람들 머리속에 우리강산 푸르게푸르게라는 슬로건이 자연스럽게 연상되듯 H&M을 떠올리면 깨어있는이라는 단어가 점점 더 소비자들의 머릿속에 각인돼 가고 있다.

 

 

 

 

 

 

 

깨어있는 활동

 

 

 

 

 

 

패스트 패션 업체임에도 지속가능성 제고해 나가는 H&M

 

 

소비자는 패스트 패션이라고 부르지만 H&M스스로는 우리는 H&M을 패스트 패션이라고 여기지 않는다고 말한다. 업계에서 중시하는 빠른 생산 매일 다른 디자인 H&M의 핵심 역량이 아니다. 오히려 더 좋은 상품을 더 좋은 가격에 제공하고 환경과 경제에 지속가능한 상품을 만들어내며, 미래세대를 위한 상품개발에 매진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기업으로서 소비자에게 각인되고자 한다. 패스트 패션과 지속가능성, 결코 어울리기 힘들 것 같은 단어지만 H&M은 하나하나 그 실타래를 풀어가고 있다.

 

 

 

 

 

 

 

 

 

의류업계에서 패스트 패션의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의 의식변화는 업체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싸고 품질 좋으면 구입했던 소비자였다. 오늘날에는 이것저것 물어보고 따져보는 게 많다. 이렇게 많이 생산해도 되냐고, 남는 것은 어떻게 할거냐고, 하청업체의 등골을 뽑아서 가격을 낮춘 것은 아니냐고, 환경보호에 어긋나는 행동은 하고 있지 않냐고 말이다. 어떻게 보면 도발적인 질문이지만 그만큼 세상이 바뀌었다는 이야기다. 이런 변화 속에서도 H&M은 선도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 SPA 업계 중 글로벌 브랜드 순위 1등을 달리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