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뼈가되는 이야기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간단 요약 정리

 

 

왼쪽부터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후보 ⓒ 연합뉴스

 

 

후보1호 공약/핵심 슬로건경제·산업노동·복지정치·사법·개헌외교·안보·에너지기타 주요 공약

후보 공약 경제/산업 노동/복지
이재명 AI·K콘텐츠 산업 육성 통한 경제강국 100조 AI펀드, K컬처 수출 확대, 고성능 GPU 5만개 확보 주 4.5일제, 포괄임금제 금지, 청년미래적금, 공공임대 확대
김문수 기업하기 좋은 나라 규제 철폐, 법인세·상속세 인하, 기업 투자 촉진, 인프라 조성 노동시장 유연화, AI인재 양성, 청년주거비 지원, 의료·육아 지원
이준석 일 잘하는 정부/정부조직 축소 리쇼어링 촉진, 법인세·최저임금 지역별 차등 적용 국민연금 신·구 분리, 청년 5천만원 저리 대출
권영국 증세 통한 불평등 해소(유일 진보 후보) 상속세·증여세 인상, 부유세 신설, 금융투자·가상자산세 30% 노동권·사회안전망 강화, 성별임금격차 해소, 노조 권리 확대

 

 

후보1호 공약/핵심 슬로건경제·산업노동·복지정치·사법·개헌외교·안보·에너지기타 주요 공약

 

후보 정치/사법/개헌 외교/안보/에너지 기타공약
이재명 내란 극복, 민주주의 회복, 검찰·사법개혁, 세종 행정수도 완성 북핵 단계적 해소, 실용외교, 전시작전권 환수, 기후위기 대응 아동·청년·어르신 복지, 저출생·고령화 대응
김문수 선관위 감사, 공수처 폐지,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폐지, 감사관제 도입 한미동맹 강화, 핵확장억제, 원전 확대, 에너지 안보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GTX 전국 확대
이준석 정부조직 19→13개 축소, 3부총리제, 여성가족부 폐지, 연금개혁 병역제도 개편, 안보부총리 신설 교사 소송 국가 책임제, 지방경제 활성화
권영국 여성가족부→성평등부 격상, 차별금지법, 비동의 강간죄, 기후에너지부 신설 탈핵, 기후에너지부 신설, 기후위기 대응 공공병원 신설, 장애인 지원,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주요 공약 분야별 비교

 

경제·산업
이재명: AI·K콘텐츠 산업 중심 경제성장, 100조 투자, 고성능 GPU 5만 개 확보, 문화수출 50조 달성 목표.
김문수: 규제 철폐, 법인세·상속세 인하, 기업 투자 활성화, 인프라 조성, 청년 일자리 창출 기업 세제 혜택.
이준석: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 국내 복귀) 촉진, 법인세·최저임금 지역별 차등 적용.
권영국: 증세 통한 불평등 해소, 부유세·금융투자소득세 강화, 노동권 강화.

노동·복지
이재명: 주 4.5일제, 포괄임금제 금지, 청년 미래 적금, 공공임대 확대, 아동·어르신 돌봄 강화.
김문수: 노동시장 유연화, AI 인재 양성, 청년 주거비 지원, 의료·육아 지원 확대.
이준석: 국민연금 신구 분리, 청년 5천만 원 저리 대출, 지역별 최저임금 차등.
권영국: 노동권·사회안전망 강화, 성별 임금격차 해소, 노조 권리 확대, 노란봉투법 통과.

정치·사법·개헌
이재명: 내란 극복, 민주주의 회복, 검찰·사법 개혁(수사권·기소권 분리, 대법관 정원 확대), 세종 행정수도 완성.
김문수: 선관위 감사, 공수처 폐지,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폐지, 이재명 방지 감사관제 도입.
이준석: 정부조직 개편, 부처 축소, 여성가족부 폐지, 연금개혁.
권영국: 여성가족부→성평등부 격상, 포괄적 차별금지법, 비동의 강간죄 도입, 기후에너지부 신설.

외교·안보·에너지
이재명: 북핵 단계적 해소, 실용 외교, 전시작전권 환수, 기후위기 대응.
김문수: 한미동맹 강화, 핵 확장억제, 원전 비중 확대, 에너지 안보 강화.
이준석: 병역제도 개편, 안보 부총리 신설.
권영국: 탈핵 기본법, 기후에너지부 신설, 기후위기 적극 대응.

기타 분야
이재명: 세종 행정수도 완성, 아동·청년·어르신 모두가 잘사는 나라, 저출생·고령화 위기 대응.
김문수: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GTX(광역급행철도) 전국 확대.
이준석: 교사 소송 국가 책임제, 지방 경제 활성화.
권영국: 공공병원 신설, 장애인 지원 확대,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한눈에 보는 차별점
이재명: 첨단산업·복지·민주주의 회복에 집중, AI와 문화산업을 성장동력으로 제시
김문수: 기업 친화적 정책, 규제·세제 완화, 강경한 안보·원전 확대
이준석: 정부 효율화, 지방 분권, 청년 지원, 제도 개혁
권영국: 진보적 증세·복지·노동권 강화, 성평등·기후위기 적극 대응

728x90
반응형